본문 바로가기

KCGS4

한국지배구조원 ESG 가이드라인 중 사회부문 개편 (인권 위주) 한국지배구조원의 ESG 가이드라인인 KCGS는 최근 평가방식을 개편하였습니다. 그 중에서 사회부문은 기존 근로자, 협력사, 소비자, 지역사회라는 대상 위주의 구분에서 러더쉽, 비재무 위험관리, 운영 및 성과, 이해관계자 소통으로 모범규준을 변경하였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국제산업분류 표준에 따라 에너지, 소재 등 산업을 분류하여 그 내에서 근로자, 협력사, 소비자 및 지역사회로 4대 분류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존 사회부문 영역은 특히 근로자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고용 및 근로조건, 노사관계, 직장 내 보건 및 안전, 인력개발 및 지원, 직장 내 기본권으로 세분화하여 해당 평가항목을 마련하였습니다. 1) 고용 및 근로조건 정규직 여성근로자 비중, 근로자 평균 근속 연수, 매출액 대비 복리후생.. 2024. 1. 10.
기업지배구조원 ESG 평가기준 (지배구조 중심) 한국기업지배구조원 (KCGS)는 21년도 1005개사를 대상으로 ESG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유가증권 상장회사 765사, 코스닥 185사, 비상장회사 (금융회사) 55사로 구성됩니다. 평가 결과는 ESG 통합 및 부문별 개별 등급은 한국거래소 KRX 사회책임투자지수 5종 구성과 자산운용사의 사회책임상품 개발에 활용됩니다. 사회책임투자지수는 KRX ESG Leaders 150, Governance Leader 100, ESG 사회책임경영지수, 코스피 200 ESG지수이며, 자산운용사 사회책임상품으로는 미래에셋지속가능 ESG 채권펀드, KB의 ESG 성장 리더스 증권 자투자신탁이 있습니다. 아래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평가안내 중 기본평가 항목의 모범규준 개정본 일부입니다. 기업분류, 문항구성에 대한.. 2023. 12. 24.
한국ESG 기준원 모범규준 개정 한국ESG기준원의 환경 모범규준은 KCGS인데 금번 두 가지 큰 관점에서 개정하였습니다. 첫 째는 전사적 위험관리 프로세스에 환경경영 통합관리를 유도하기 위해 대분류 체계를 개편한 것입니다. 환경경영계획, 환경경영실행, 환경성과 관리 및 보고, 이해관계자 대응에서 리더십과 거버넌스, 위험 관리, 운영 및 성과, 이해관계자 소통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둘 째는 전 세계적인 책임투자 확대 및 ESG 정보공개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CDP, TCFD 등 글로벌 가이드라인을 대폭 반영하였습니다. 아래는 KCGS 주요 개정 사항입니다. 가. 기후변화 중요성 강조 및 위험, 기회 요인 파악 환경 위험/기회 요인 파악 및 대응강화 : 기업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무적 영향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시나리오분석을 활용할 .. 2023. 11. 28.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평가 등 활동 내용 국내 대표 ESG 평가 기관으로 한국기업지배구조원 (KCGS)는 통합평가를 2003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특히, 2011년도부터는 사회책임과 환경경영을 포함한 통합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 상장사의 지속가능경영을 진단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체계는 한국거래소 KRX 사회책임투자지수를 종목구성으로 다음과 같이 활용하고 있다. KRX ESS 리더 150, 지배구조관련 100, 환경고려 관련 100, 사회책임경영지수 및 코스피 200 종목 ESG 지수로 구분된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평가 대상은 유가증권 상장회사, 코스닥 150, 대기업 소속회사, 상장 금융사 및 주요 비상장 금융사 등이 있다. 평가 문항은 아래와 같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및 금융사지배구조로 구분한다. 환경은 상/중/하로, 사회는 에너지,.. 2023.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