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업지배구조원 ESG 평가기준 (지배구조 중심)

by mintmong 2023. 12. 24.

 

한국기업지배구조원 (KCGS)는 21년도 1005개사를 대상으로 ESG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유가증권 상장회사 765사, 코스닥 185사, 비상장회사 (금융회사) 55사로 구성됩니다. 

 

평가 결과는 ESG 통합 및 부문별 개별 등급은 한국거래소 KRX 사회책임투자지수 5종 구성과 자산운용사의 사회책임상품 개발에 활용됩니다. 

 

사회책임투자지수는 KRX ESG Leaders 150, Governance Leader 100, ESG 사회책임경영지수, 코스피 200 ESG지수이며, 자산운용사 사회책임상품으로는 미래에셋지속가능 ESG 채권펀드, KB의 ESG 성장 리더스 증권 자투자신탁이 있습니다. 

 

아래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평가안내 중 기본평가 항목의 모범규준 개정본 일부입니다. 

기업분류, 문항구성에 대한 내용으로서 기본평가 항목입니다. 지배구조의 기업분류는 자산 2조원 기준으로 구분하며, 문항으로는 주주권 보호, 이사회, 감사기구, 정보공개가 있습니다. 

 

금융사지배구조 항목중 기업분류는 상장여부로 구분하며, 문항중에서는 최고경영자, 보수, 위험관리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심화평가 방법은 기업활동에서 발생한 부정적 이슈를 위주로 이루어지며 공시자료, 뉴스 등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상시 수집하면서 이루어집니다. 기업가치 훼손 우려가 높은 ESG 이슈를 법위반여부, 중대성, 규모, 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감점 수준을 결정합니다. 

 

 

 

상기 지배구조의 문항을 세분화해서 살펴보면 다음의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1) 이사회 리더십

-이사회의 역할과 책임

-이사의역할과 책임

-이사회 구성

-사외이사

-이사회 내 위원회

 

2) 주주권 보호

-주주의 권리

-주주총회

 

3) 감사

-내부감사

-외부감사

 

4) 이해관계자 소통

-주주 및 이해관계자와의 직접 소통

-정보공개

 

상기 내용에 대한 평가 방식은 예/아니오 질문과 이행 및 관리수준을 %로 표시하거나 산업평균수준 여부 질문 등으로 구성됩니다. 기본평가 평가점수에서 심화평가를 통한 점수를 차감하는 형태이며 최종 평가등급은

S, A+, A, B+, B, C, D로 총 7개로 나뉩니다. 

 

상기 내용중 주주권 보호관련 주주권 행사가 강화되는 현상이 최근 일어나고 있습니다. 예로서 국민연금공단이 수탁자책임 활동의 일환으로 21년도 하반기 주주대표소송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19년도 수탁자책임 활동 가이드라인 도입을 통해 대표소송 등 기준을 마련한 것부터 시작됩니다. 

 

기업으로서는 '기업가치 훼손' 이라는 부정적 평가에 신경을 쓰게되는 계기가 되며, 향후 ESG 경영 및 평가에도 중요한 영역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