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지배구조4 ESG 리스크 관리 지배구조 부문 및 글로벌 자산운용사 행동 변화 ESG 지배구조 부분에 주주권리 보호 및 이사회 선임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국내 기관투자자의 주주대화 주제가 19년도 대비 21년도 약 2년간 설문조사를 통해 변화된 내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ESG 관련 내용이 54%에서 74%로 많이 증가하였고, 상대적으로 주주환원 및 재무구조 개선 영역이 감소하였습니다. 글로벌 자산 운용사인 블랙록은 20-21년 주주총회에서 기후관련 리스크를 관리하지 못해 주주의 장기적 가치를 훼손시킬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255명의 이사 재선임에 반대 의결권을 행사하였습니다. 또한 37개사의 사회 이슈 관련 경영사안 (이사선임 포함)에 대해 반대 의결권을 행사하였습니다. 예시로서 세계 최대 장갑생산업체인 TOP GLOVE 말레이시아 사업장에서 코로나 발생으로 수 .. 2023. 12. 21. 중소 ESG 지배구조/공급망관리 관리항목 중소기업은 통상 중견/대기업의 협력업체로서 최근 ESG 경영 요구에 대해서 해당 대기업으로부터 자료를 요청받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의 성장성이나 현 상황에서도 다른 업체를 공급망으로 두는 경우가 있으니 지배구조 중 공급망관리에 대해 신경 써야 합니다. 지난번에도 언급하였듯이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서 제시하는 가이드에는 공급망관리가 사회부분 영역에 위치해 있습니다. 통상 사회 부분이 사람, 즉 근로자, 소비자, 이해관계자의 인권, 편의를 다루므로 공급망을 넓은 의미의 협력체 근로자로 인식하였기 때문입니다. 사회든 지배구조든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관리항목 및 이행방안입니다. 아래 그림은 21년도 조사기준 ESG 이슈로 기업 매출의 감소 퍼센트를 나타낸 것입니다. (FTI Thomas .. 2023. 10. 10. 중소 ESG 지배구조/경영체계/CEO, 전담부서, 이사회 관리항목 지배구조는 기업 수익 및 가치 극대화를 위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틀입니다. 보편적으로 최고경영자, 이사회 및 주주총회로 구성됩니다. 국내 주요 대기업은 경영권 승계 작업이 본격화되는 등 새 리더의 등장으로 지배구조의 쿤 변화가 예상됩니다. 반면,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서 실시한 ESG 실태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지배구조 점수는 300점 중 89점으로 낮은 편입니다. 유가증권시장 평가대상기업인 중소기업 117개 개 사 중 임직원 윤리규정을 갖춘 기업은 10%인 11개 사에 불과합니다. 이런 여건 속에서 ESG 경영의 중요성은 중소기업으로 하여금 더욱 큰 고민을 주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다음의 관리지표 및 이행방안을 살펴보면 실천할 수 있는 부분이 분명 있습니다. 1. 최고경영자 의지 최고 경영자의 ESG .. 2023. 10. 7. ESG 거버넌스 관리항목, 윤리 및 준법 경영 윤리경영 인증은 기업이나 조직이 윤리적인 경영과 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를 인증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윤리경영 인증은 기업의 윤리적인 가치와 원칙을 존중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지를 검증하고, 건전한 경영문화를 확립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윤리경영 인증은 기업이나 조직이 윤리적인 경영과 관리를 지향하고 실천하는지를 평가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평가 기준이 존재하며, 대표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윤리적 경영 원칙: 기업이나 조직이 준수해야 할 윤리적인 가치와 원칙에 대한 명시적인 정책과 가이드라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합니다. 윤리교육: 기업이나 조직이 직원들에게 윤리교육을 제공하고, 윤리적인 의사결정과 행동을 지원하는지를 평가합니다. 윤리적 위반 관리: 기.. 2023. 8.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