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4 환경규제 개선_순환경제 관련 1. 폐기물 재활용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폐기물관리법」 하위법령 개정, ’22.11월) 기존에는 커피박(찌꺼기)의 재활용 가능 유형이 비료·사료 등으로만 한정되어 그 외 용도는 별도 재활용환경성평가 승인을 받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개선안을 커피박의 재활용 가능 유형을 발전연료, 벽돌 등 요업제품 제조 등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예시로서 G모씨는 최근에 새활용(업사이클링) 프로젝트로 개발된 화장품을 샀습니다. 커피찌꺼기(커피박)를 이용해 만들어진 화장품이라고 하는데. 그간 커피박은 일반쓰레기로 분류되어 종량제 봉투에 버려져 카페에서도 골칫덩어리로 여긴다는 뉴스를 봤었습니다. 이제는 순환자원으로 인정(’22.3)이 가능해지면서 폐기물 규제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버.. 2024. 4. 5. 자동차 회사별 재활용 원사, 플라스틱 사용 목표 자동차 소재 중 플라스틱이 사용되는 부분에서 재활용품을 사용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선, 화학업체에서 재활용품을 많이 생산해야 하는데, 이는 중간 소비자인 자동차 시장에서 요구가 증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 플라스틱 제품이 화석연료 기반이며, 이렇게 사용된 제품이 먼 바다에서 잘 분해되지 않은채 해양 오염을 야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의류산업 관련해서도 나일론 등 고중합체도 재활용한 원사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에는 전세계 자동차 업체를 대상으로 각각 플라스틱 재활용 목표 또는 계획에 대해 설명합니다. 미국의 포드는 10년전부터 글로벌 차종에 대해 25% 리사이클 원사를 적용중에 있습니다. GM은 26년도까지 100% 리사이클 원사를 필수 적용하고자 합니다. Renault (프.. 2023. 10. 28. 순환경제를 위한 국내외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개발 현황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해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순환경제관련 기술이 폐기물관리 및 자원순환 (과학기술표준분류)과 폐기물 자원화 및 에너지화 (녹색기술분류) 범주 안에 속한다는 전제아래 플라스틱이 포함된 과제에 대해 분석한 내용입니다. 환경부가 70%로서 압도적이며, 중소벤처기업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각각 12%, 9%입니다. 2018년도부터 플라스틱 자원화 기술 연구개발 투자가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며, 19년~21년간 투자 금액이 전체 금액의 80%를 차지합니다. 이는 19년도부터 시작한 200억 이상 규모 생활폐기물 재활용 기술개발사업 영향으로 사료되며, 단일 사업이 본 연구개발 시장에 큰 영향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외 특허출원 현황입니다. 12년도~21년도 약 10년간 등록 특.. 2023. 8. 29. ESG 순환경제 및 플라스틱 오염 관련 (화학적) 재활용 시나리오 플라스틱은 우리 생활속에 깊숙히 들어와 있습니다. 때로 분리수거과정에서 종이나 알루미늄으로 오인하기도 하는 플라스틱 ! 오늘은 국가미래연구원이 중장기 미래전략으로서 플라스틱 재활용에 관한 보고내용에 대해 얘기합니다. 2024년 플라스틱 국제협약이 마련되는 등 플라스틱 해양오염에 대한 공감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유럽은 2021년부터 일회용 제품 사용을 규제하고, 영국은 22년부터 재생원료 30% 미만 포함된 플라스틱 포장재 대상 세금을 도입하여 재활용을 촉진합니다. 해외 글로벌 기업들은 국내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재생플라스틱 사용 비율 인증을 요구하는 등 무역 환경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이 세계에서 최상위이며, 포장재 사용 비중이 거의 절반입니다. 17년 플라스틱 폐기물.. 2023. 8.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