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성적표지3

환경성적표지 인증 절차 및 방법 중소기업대상으로 환경성적 산정 지원제도가 있습니다. 연매출 1000억 원 이하 중소기업이 인증 신청 시 인증신청수수료 제경비 면제, 환경성적표지 인증도안 사용 지원 (도안 금형 제작비용 지원), 전용 시스템 (ezEPD)지원 및 관련 교육 실시, 인증심사원 보구교육 실시, 제도 설명회 및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 등을 지원합니다. 운영체계는 환경부가 총괄운영하며, 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제개정, 인증 및 사후관리를, 환경보전협회는 인증심사원 양성교육을 맡아서 합니다. 1. 작성지침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고자 하는 자가 제품에 대한 환경성적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지침으로서 공통사항 몇 가지가 있습니다. 일반제품의 경우, 사용 단계의 환경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일반제품 (에너지 비사용 .. 2023. 11. 22.
환경성적표지 정의, 추진현황, 혜택 소비자에게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정확하고 투명한 환경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속가능 소비, 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채취, 생산, 수송, 유통, 사용, 폐기 등 전과정에 대한 환경성에 관한 정보를 계량적으로 표시하는 제도입니다. 1. 환경 영향범주 환경영향범주는 아래와 같이 탄소, 물, 자원발자국, 오존층영향, 산성비, 부영양화, 광화학스모그 7개입니다. 큰 틀에서 폐기물, 수질, 대기질, 토양이라는 환경매체와 복합적인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그 중에서 탄소발자국은 대기로 방출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물질이 지구의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범주로서 온실가스라고 쉽게 이해하면 됩니다. 법적근거로서는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제18조, 시행령 26조, 시행규.. 2023. 11. 21.
환경성적표지 (EU, 미국, 한국) EPD(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환경성적표지)는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 등 생명 주기 동안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투명하게 보고하는 문서입니다. EPD는 제품의 녹색성과와 환경적 특성을 정량화하여 소비자와 기업들이 더 지속가능한 제품을 선택하고 생산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EPD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합니다: LCA 분석: 제품의 생명 주기 동안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LCA(Life Cycle Assessment, 생명주기평가) 분석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생산, 운송, 사용, 폐기 등 각 단계에서의 자원 소비와 물질 배출 등을 정량화하여 기록합니다. 영향 평가: LCA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제품.. 2023.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