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개4

녹색기업 녹색기업은 95년 '환경친화기업' 지정제도를 통해 시작되었고, 2010.4월 '녹색기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정부 및 기업간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환경경영체제 구축, 자원 및 에너지 절감, 오염물질의 현저한 저감, 사회, 윤리 책임 이행 등 환경경영 우수 기업 및 사업장을 '녹색기업'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상기 내용중에서 사회, 윤리 책임 이행 부분은 다소 비중이 약하고, 환경경영 부문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최근, ESG 열풍과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에 대한 관심으로 녹색기업은 95년도 부터 환경 관리 측면에서 노력을 하고 있는 셈입니다. 녹색기업은 배출시설의 허가를 신고로 하향 조정하여 번거로움을 들고, 친환경사업을 위한 자금 지원도 받습니다. 또한, 오염물질 처리 실태 파악을 위한 보고.. 2024. 3. 4.
ESG 지배구조 부문, 주주와 소통 아래 그림을 보면 주주의 유형을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적극적인 행위로서는 주주제안과 대표소송이 있고 소극적인 태도로는 대화와 의결권이 있습니다. 또한 적극적인 주주 유형은 보통 비우호적이면서 리스크가 큰 형태를 보이며 소극적인 태도는 우호적인 성격과 연관이 있습니다. 주주 및 이해관계자와 소통영역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ESG 관리지표 중 정보공개와 연관이 있습니다. 19년도 초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블랙록 CEO는 회사의 목적은 단순히 주주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직원, 고객 및 지역사회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언급하였습니다. 또한 19년 8월, 미국 200대 기업 최고경영자로 구성된 협의체인 Business round table ththr.. 2024. 1. 1.
정보공개와 그린워싱 ESG 정보공개는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여 투자자 및 이해관계자로 하여금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할 필요에서 출발합니다. 정보공시 의무가 내용과 범위면에서 계속 확대되고 있습니다. 과거 기업이 사회적 가치 창출활동을 통해 해당 관계자 집단의 이익을 도모하고 나아가 착한 기업이라는 이미지 홍보를 해왔습니다. 최근에는 ESG 열풍으로 인해 환경오염저감활동이나 생산과정에서 온실가스를 줄이는 노력을 통해 예전과 유사한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즉, 온실가스를 줄이는 노력으로 인해 실제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착한 이미지를 제고시키고 있습니다. 1. 정보공개 그린워싱을 논하기 전에 우선 ESG 정보공개 원칙을 알아보겠습니다. 글로벌 표준과 그에 기반한 한국거래소 정보공개 가이던스 (21년도)를 보면 6가지 원칙이 존.. 2023. 12. 8.
ESG 지배구조/커뮤니케이션/정보공개 및 의사소통 관리항목 지배구조의 커뮤니케이션 부문은 2개의 관리항목으로 구분합니다. 정보공개 및 의사소통 체계 구축입니다. 정보공개는 기업의 ESG 관련 정보를 보고서 등 형태로 외부에 공개하는 것이며 의사소통 체계는 내부고발 및 고충처리 등 익명성을 기반으로 신속한 대응, 신고자 보호 방식의 구축이 주요 내용입니다. 1. 정보공개 이해관계자의 주요 관심사항에 대한 기업 대응현황을 간담회나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합니다. 특히 이해관계자 통한 의견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이 선행되어여 합니다. 해외 기업은 GRI, CDP (탄소공개프로젝트), SASB (지속가능 회계 기준 위원회)의 가이드를 통해 표준을 통해 ESG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GRI는 모든 업종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정보공개 기준을 제시하고 분야별 지표를 구체화합니.. 2023.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