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속가능경영보고서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트렌드 유럽의 ESG 공시지침인 ESRS가 23년 7월 집행위를 통과하였고, ISSB의 국제 공시 표준도 6월에 발표되었습니다. 인권과 환경분야 실사를 의무화하는 공급망 실사지침도 23년 6월 의회를 통과하였습니다. 반면, 국내는 ESG 공시 의무화 시행을 26년 이후로 연기 발표하였습니다 (23년, 10월, 금융위). 이러한 ESG 공시 추진에 따라 기존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트렌드도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매출액 기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한 162개 기업은 자발적으로 ESG 사항을 공개하였습니다. 업종별로 제조업이 79개사로 약 50%를 차지하며 금융업은 24개사로 약 15%를 차지합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는 기업 수가 증가하고, 내용도 GRI 국제기준에 맞추어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국거.. 2024. 5. 3.
기업지배구조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ESG 공시제도 중 국내는 기존 기업지배구조보고서외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크게 자본시장안과 밖에서 적용되는 공시제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자본시장 내에서 여러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나, 외국사례는 보통 기존 사업보고서를 활용하되 그 안에서 ESG 관련 정보 공시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이 이 부분에 있어서 혼돈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편, 자본시장 내에서 세분화하여 추진하는 것은 적응을 위한 과도기 상황에서는 유리할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자본시장내에서는 지속가능경영, 기업지배구조, 사업보고서로 구분합니다. 기본이 되는 기업지배구조 보고서내에는 주주권리 보장, 이사회 독립성, 감사기구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다루고 있고, 자.. 2023. 11. 13.
지속가능발전목표 (SDG)와 ESG 연관성 ESG 경영의 지표를 보면 비재무 지표에 대한 수치화 및 평가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장단기적 노력을 통해 각 기업은 이러한 비재무지표에 대한 성과를 창출하고 공시하여야 한다. 비재무적 지표 평가의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이 때, 기존 투자자를 주 고객으로 기업이 자신의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해온 반면, ESG 경영 대두로 인해 사회환경의 질을 제고해야 하는 부담이 기업에게 가중되었다. 이 때 주요 고객 내지 이해당사자는 고객, 소비자 및 정부이다. 지속가능발전목표는 2015년 국제사회가 UN을 통해 합의한 것으로 ESG를 활성화시켰다. SDG는 좀 더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반면, ESG는 기업 경영에 좀 더 압박을 가한다. 환경친화적인 기업 경영을 위한 세분화 전략이다. 특히, 지속가능발전목.. 2023.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