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활용4

유럽 배터리 재활용, 재사용 현황 유럽은 2025년에 10만 대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기차 폐차가 2040년에 1천 만대를 초과하며, 사용 후 배터리도 3GWh에서 857GWh에 달할 전망합니다. 전기차 폐차 발생량은 2025년 10만대, 2030년 105만대, 2035년 480만대, 2040년 1,140만대로 증가하며, 그에 따라 사용 후 배터리 발생량은 2025년 3GWh, 2030년 65GWh, 2035년 295GWh 2040년 857GWh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이 중 재활용에 사용될 폐배터리는 2025년 2GWh, 2030년 31GWh, 2035년 147GWh, 2040년 374GWh입니다. 재활용 폐배터리율은 약 50%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재활용에 사용될 폐배터리와 배터리 스크랩의 양을 토대로 추정한 유럽의 .. 2024. 3. 14.
폐배터리 및 스크랩 재활용의 중요성 최근 전기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주요국의 정부와 기업들은 배터리 핵심 원료 확보를 위해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산업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같이 금속 및 광물 자원이 부족한 나라의 경우, 폐가전자원 등에서 금속을 회수하여 다시 사용하는 2차 생산이 더욱 중요합니다. 온실가스 배출면에서도 1차 생산보다 유리합니다. 가용 및 희귀 금속들은 풍력 및 태양광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장비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비단, 전자제품 뿐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시설까지 내구 년한이 도래하는 시점 해당 폐기물에서 귀한 원료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SNE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22년 80억 달러에서 ’25년 208억 달러로 성장한 후 연평균 17%씩 증가해.. 2024. 3. 12.
순환경제를 위한 국내외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개발 현황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해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순환경제관련 기술이 폐기물관리 및 자원순환 (과학기술표준분류)과 폐기물 자원화 및 에너지화 (녹색기술분류) 범주 안에 속한다는 전제아래 플라스틱이 포함된 과제에 대해 분석한 내용입니다. 환경부가 70%로서 압도적이며, 중소벤처기업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각각 12%, 9%입니다. 2018년도부터 플라스틱 자원화 기술 연구개발 투자가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며, 19년~21년간 투자 금액이 전체 금액의 80%를 차지합니다. 이는 19년도부터 시작한 200억 이상 규모 생활폐기물 재활용 기술개발사업 영향으로 사료되며, 단일 사업이 본 연구개발 시장에 큰 영향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외 특허출원 현황입니다. 12년도~21년도 약 10년간 등록 특.. 2023. 8. 29.
ESG 순환경제 및 플라스틱 오염 관련 (화학적) 재활용 시나리오 플라스틱은 우리 생활속에 깊숙히 들어와 있습니다. 때로 분리수거과정에서 종이나 알루미늄으로 오인하기도 하는 플라스틱 ! 오늘은 국가미래연구원이 중장기 미래전략으로서 플라스틱 재활용에 관한 보고내용에 대해 얘기합니다. 2024년 플라스틱 국제협약이 마련되는 등 플라스틱 해양오염에 대한 공감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유럽은 2021년부터 일회용 제품 사용을 규제하고, 영국은 22년부터 재생원료 30% 미만 포함된 플라스틱 포장재 대상 세금을 도입하여 재활용을 촉진합니다. 해외 글로벌 기업들은 국내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재생플라스틱 사용 비율 인증을 요구하는 등 무역 환경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이 세계에서 최상위이며, 포장재 사용 비중이 거의 절반입니다. 17년 플라스틱 폐기물.. 2023.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