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자료3

온실가스 배출량 근사법에 의한 계산 예시 _2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은 활동자료를 확보하는 것 부터 시작합니다. 특히, 활동자료 중 원료, 연료 사용량이 중요하며, 주기적인 정도검사 (교정 등)를 받는 계측기로 측정한 값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실제 사업장 운영 상황에서는 정도검사를 실시하지 못했거나, 아예 계측기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근사법에 의해 먼저 산출하고, 이행계획서에 정도검사 주기 설정 및 계측기 설치 운영 시점 등을 별도로 기재합니다. 오늘은 지난번에 이어 근사법을 통해 원료, 연료 등의 사용량을 합리적으로 추론하는 방법 (온실가스명세 작성 해설서, 환경부)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C-3은 어느 특정기간동안 (보통 1달) 계측기 등의 고장 등 문제로 원료/연료 측정을 하지 못한 경우, 그 달의 제품생산량과 그 달.. 2023. 8. 30.
온실가스 모니터링 방법 (조직경계, 산정등급, 활동자료 측정위치) 모니터링 계획은 배출량 산정에 필요 자료와 그 자료의 측정, 평가에 관한 세부적인 방법을 규정하는 것입니다. 사용 에너지 및 원료, 제품 및 폐기물량 등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측정결과를 활동자료라고 합니다. 이러한 활동자료와 계수, 산화율 등 산정방법의 복잡성 수준을 산정등급 (Tier)이라고 합니다. 산정등급은 1~4단계이며, 높을수록 정확도가 높습니다. 그 만큼 배출량 산정의 복잡도도 증가합니다. 특히 3단계는 물질수지 기반이고, 4단계는 30분 단위 실측값으로 산정합니다. 가장 단순한 1단계는 IPCC기본계수를, 2단계는 국가고유계수를 적용합니다. 모니터링 계획 작성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1) 조직경계 내용 (위치, 조직도, 시설배치도) 2) 배출시설 및 활동 목록 3) 각 배.. 2023. 8. 22.
온실가스 배출량 세부산정방법 (고정연소_기체연료, 이동연소_자동차) 사업장별 배출량은 정수로 보고합니다. 배출활동별 배출량 세부산정 중 활동자료의 보고값은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셋째자리까지로 하며, 각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의 단위를 따릅니다. 큰 틀에서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대상시설과 대상가스를 먼저 정합니다. 여기서 대상시설은 아래 그림과 같이 연소시설과 배가스내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시설 (대기오염방지시설)이 해당합니다. 그리고, 각 시설 및 가스별 산정을 위해 연료사용량 (활동자료)과 3가지 계수 (열량, 배출, 산화계수)를 찾아서 산정등급식에 투입하여 계산합니다. 먼저, 산정등급(Tier) 분류체계는 아래와 같이 4개로 나뉩니다. 숫자가 커질수록 정확도가 높은 산정방법입니다. 특히 Tier4는 연속측정방법을 활용한 방식입니다. 오늘 작성 내용은 중.. 2023.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