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온실가스 배출량 세부산정방법 (고정연소_기체연료, 이동연소_자동차)

by mintmong 2023. 8. 19.

사업장별 배출량은 정수로 보고합니다. 배출활동별 배출량 세부산정 중 활동자료의 보고값은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셋째자리까지로 하며, 각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의 단위를 따릅니다.

 

큰 틀에서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대상시설과 대상가스를 먼저 정합니다. 여기서 대상시설은 아래 그림과 같이 연소시설과 배가스내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시설 (대기오염방지시설)이 해당합니다.

그리고, 각 시설 및 가스별 산정을 위해 연료사용량 (활동자료)과 3가지 계수 (열량, 배출, 산화계수)를 찾아서 산정등급식에 투입하여 계산합니다.

 

 

먼저, 산정등급(Tier) 분류체계는 아래와 같이 4개로 나뉩니다. 

숫자가 커질수록 정확도가 높은 산정방법입니다. 특히 Tier4는 연속측정방법을 활용한 방식입니다.

오늘 작성 내용은 중소기업이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전제하에 1~2 등급에 대해 기술하겠습니다.

 

 ① Tier 1 : 활동자료, IPCC 기본 배출계수(기본 산화계수, 발열량 등 포함)를 활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 기본방법론

 ② Tier 2 : Tier 1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갖는 활동자료, 국가 고유 배출계수 및 발열량 등 일정부분 시험ㆍ분석을 통하여 개발한 매개변수 값을 활용하는 배출량 산정방법론

 ③ Tier 3 : Tier 1, 2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갖는 활동자료, 사업자가 사업장ㆍ배출시설 및 감축기술단위의 배출계수 등 상당부분 시험ㆍ분석을 통하여 개발하거나 공급자로부터 제공받은 매개변수 값을 활용하는 배출량 산정방법론

 ④ Tier 4 : 굴뚝자동측정기기 등 배출가스 연속측정방법을 활용한 배출량 산정방법론

 

가. 고정연소 (기체연료)

특정 시설에 열을 제공하고 이를 열 혹은 기계적인 일(mechanical work)로 공정에 제공하거나 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용하기 위해 설계된 장치 내에서 LNG, LPG, 프로판, 부탄 및 기타 부생가스 등 기체연료의 의도적인 연소로부터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입니다. 동 활동에서는 CO2 CH4, N2O가 발생합니다.

 

1. 기체연료 연소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은 아래와 같습니다.

화력발전시설

열병합 발전시설

발전용 내연기관

일반보일러 시설 (원통형, 수관식, 주철형 보일러)

공정연소시설 (㉠ 건조시설, ㉡ 가열시설, ㉢ 나프타 분해시설(NCC), ㉣ 용융ㆍ용해시설용융ㆍ용해시설,  소둔로, ㉥ 기타로)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 배연탈황시설, ㉡ 배연탈질시설)

 

 

2.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3. 배출량 산정방법론

 

Tier 1∼3

 

Ei,j : 연료(i)의 연소에 따른 온실가스(j)의 배출량(tGHG)

Qi : 연료(i)의 사용량(측정값, m3-연료)

ECi : 연료(i)의 열량계수(연료 순발열량, MJ/m3-연료)

EFi,j : 연료(i)에 따른 온실가스(j)의 배출계수(kgGHG/TJ-연료)

fi : 연료(i)의 산화계수(CH4, N2O는 미적용)

 

 

4. 매개변수별 관리기준

 

  활동자료 (연료사용량, Qi)

 

   Tier 1

   사업자 또는 연료공급자에 의해 측정된 측정불확도 ±7.5% 이내의 연료 사용량 자료를 활용합니다.

   Tier 2

   사업자 또는 연료공급자에 의해 측정된 측정불확도 ±5.0% 이내의 연료 사용량 자료를 활용합니다.

 

② 열량계수 (순 발열량, ECi)

 

   Tier 1

   별표 11에 따른 IPCC 가이드라인 기본 발열량 값을 사용합니다.

일부 발췌

 

   Tier 2

   별표 12에 따른 국가 고유 발열량 값을 사용합니다.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별도의 계수를 공표하여 지침에 수록된 경우 그 값을 적용합니다.

 

일부발췌

 

③ 배출계수(EFi)

 

   Tier 1

   별표 10 IPCC 가이드라인 기본 배출계수를 사용합니다.

일부발췌

 

   Tier 2

   15조제2항에 따른 국가 고유 배출계수를 사용합니다.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별도의 계수를 공표하여 지침에 수록된 경우 그 값을 적용합니다.

 

산화계수(fi)

 

   Tier 1

   산화계수(fi)는 기본값인 1.0을 적용합니닫.

  Tier 2

   산화계수(fi) 0.995를 적용합니다.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별도의 계수를 공표하여 지침에 수록된 경우 그 값을 적용합니다.

 

 

나. 이동연소 (도로)

 

1. 도로 부문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은 아래와 같습니다.

 

승용, 승합, 화물, 특수자동차로 구분합니다. 승용차는 배기량으로 승합차는 승차정원 수로, 화물차는 최대 적재 중량으로, 특수자동차는 총 중량으로 경형,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합니다.

 

2. 보고 대상 온실가스는 애래와 같습니다.

 

3. 배출량 산정방법론

 

  ① Tier 1

 

Ei,j : 연료(i)의 연소에 따른 온실가스(j)의 배출량(tGHG)

Qi : 연료(i)의 사용량(KL-연료)

ECi : 연료(i)의 열량계수(순발열량, MJ/L-연료)

EFi,j : 연료(i)에 따른 온실가스(j)의 배출계수(kgGHG/TJ-연료)

i : 연료 종류

 

  ② Tier 2

 

   Tier 2 산정방법은 연료 종류별, 차종별, 제어기술별 연료사용량을 활동자료로 하고, 국가 고유 계수를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Ei,j : 연료(i)의 연소에 따른 온실가스(j)의 배출량(tGHG)

Qi,k,l : 차종(k), 제어기술(l)에 따른 연료(i)의 사용량(KL-연료)

ECi : 연료(i)의 열량계수(순발열량, MJ/L-연료)

EFi,j,k,l : 연료(i), 차종(k), 제어기술(l)에 따른 온실가스(j)의 배출계수(kgGHG/TJ-연료)

i : 연료 종류

k : 차량 종류

l : 제어기술 종류

 

일부 발췌

 

4. 매개변수별 관리기준

 

  활동자료

 

   Tier 1

   도로 또는 비도로 차량 운행을 위해 사용된 연료 종류별 사용량을 활동자료로 하고 사업자 혹은 연료공급자에 의해 측정된 측정불확도 ±7.5% 이내의 연료사용량을 활용합니다.

   Tier 2

   도로 또는 비도로 차량 운행을 위해 사용된 연료 종류별 사용량을 활동자료로 하고 사업자 혹은 연료공급자에 의해 측정된 측정불확도 ±5.0% 이내의 연료사용량을 활용합니다.

 

② 배출계수

 

   Tier 1

   아래 <-4>에 제시된 연료별, 온실가스별 기본 배출계수를 사용합니다.

 

Tier 2

   15조제2항에 따른 연료별, 온실가스별 국가 고유 배출계수를 사용합니다. , 센터에서 별도의 계수를 공표할 경우 그 값을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