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18

탄소배출권 및 ESG 평가가 일반기업에 미치는 영향 기업은 탄소를 배출하는 양 만큼 돈을 지불합니다. 앞으로 EU 탄소국경조정제도로 무역장벽이 형성되며, 공급망 전반으로 비용이 전가됩니다. 우리나라는 EU 대상 수출국으로서 탄소배출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6~9배나 낮습니다. 국내 기업은 EU 수입국으로부터 CBAM 인증서를 구매하는데 앞으로 EU수준으로 배출권 가격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는 곧 수출기업의 국내 공급망 전반으로 확산되어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올라가게 됩니다. 탄소절감기술을 개발 또는 직접 적용하지 않으면 상당한 부담이 될 것입니다. EU 외에 미국 등도 탄소배출권 관련 무역장벽화가 확산되는 조짐입니다. 국내 탄소배출량 무상할당 비중도 축소되어 향후 모든 기업의 탄소비용 증가는 필연적입니다. 국내는 3차례에 걸쳐 10% 유상할당.. 2023. 10. 26.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은 크게 4가지 틀에서 자가진단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첫째, 배출시설 설치허가(신고), 대기배출시설 운영관리,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운영관리 및 환경기술인 근무상태 확인이 있습니다. 대기오염물질 관리는 환경관리자의 역량과 연관되며, 더 나아가 ESG 경영 효율 제고에 중요한 몫을 합니다. 1. 배출시설 설치허가(신고)사항 배출시설 허가증(신고증명서)의 내용과 실제 시설 설치 사항이 다른 부분을 찾습니다. 실제 사업체는 사업을 운영하는 가운데 확장에 따른 시설의 증설이나 축소에 따른 시설의 폐쇄가 발생합니다. 또한, 환경법의 업데이트 및 신설 등 규제로 인한 사업장의 행동 변화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담당 관리자가 지속적인 법률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리스크를 .. 2023. 9. 18.
중소기업 ESG 관리항목 가이드라인 ESG 활성에 따라 검증, 평가를 수행하는 기관들이 급증하고, 평가 지표가 다양해져 기업들이 ESG 경영과 관련하여 다뤄야할 주제의 범위가 광범위합니다. 아래 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중소/중견기업의 ESG 경영 지원을 위한 가이드라인 내용입니다. 1. 국내외 주요 검증 및 평가기관 해외 주요 검증 및 평가기관은 블룸버그, 로베코, FTSE, CDP, MSCI, FTSE 러셀, S&P, 서스테이털리틱스, 레피니티브, ISS, BSI, Group korea, DNV 등이 있습니다. 국내 주요 검증 및 평가기관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대신지배구조연구소, 로이드, 한국품질재단, 한국경영인증원, 한국표준협회, 한국기업데이터, 한화자산운용, 서스틴베스트 등이 있습니다. 2. 중소기업 여건을 고려한 관리항목 선정 단.. 2023. 9. 15.
ESG 순환경제 및 플라스틱 오염 관련 (화학적) 재활용 시나리오 플라스틱은 우리 생활속에 깊숙히 들어와 있습니다. 때로 분리수거과정에서 종이나 알루미늄으로 오인하기도 하는 플라스틱 ! 오늘은 국가미래연구원이 중장기 미래전략으로서 플라스틱 재활용에 관한 보고내용에 대해 얘기합니다. 2024년 플라스틱 국제협약이 마련되는 등 플라스틱 해양오염에 대한 공감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유럽은 2021년부터 일회용 제품 사용을 규제하고, 영국은 22년부터 재생원료 30% 미만 포함된 플라스틱 포장재 대상 세금을 도입하여 재활용을 촉진합니다. 해외 글로벌 기업들은 국내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재생플라스틱 사용 비율 인증을 요구하는 등 무역 환경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이 세계에서 최상위이며, 포장재 사용 비중이 거의 절반입니다. 17년 플라스틱 폐기물.. 2023.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