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활성에 따라 검증, 평가를 수행하는 기관들이 급증하고, 평가 지표가 다양해져 기업들이 ESG 경영과 관련하여 다뤄야할 주제의 범위가 광범위합니다. 아래 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중소/중견기업의 ESG 경영 지원을 위한 가이드라인 내용입니다.
1. 국내외 주요 검증 및 평가기관
해외 주요 검증 및 평가기관은 블룸버그, 로베코, FTSE, CDP, MSCI, FTSE 러셀, S&P, 서스테이털리틱스, 레피니티브, ISS, BSI, Group korea, DNV 등이 있습니다.
국내 주요 검증 및 평가기관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대신지배구조연구소, 로이드, 한국품질재단, 한국경영인증원, 한국표준협회, 한국기업데이터, 한화자산운용, 서스틴베스트 등이 있습니다.
2. 중소기업 여건을 고려한 관리항목 선정 단계
상기의 다양한 검증 및 평가기관이 제시하는 지표가운데 중소기업들의 경영 현황과 ESG 실행 능력을 식별하곡,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먼저 무엇을 관리해야 하는지 자가진단을 위한 실천과제가 필요합니다.
중소기업 ESG 관리항목은 크게 지표 풀 구성, 관리항목 도출, 평가기관 ESG 문항 비교의 3단계를 거쳐 도출하였습니다. 지표 풀 구성은 국내외 ESG 관련 표준 이니셔티브 상 진단, 평가지표를 기반으로 구축하는 단계입니다. 2단계는 지표 풀 중서에서 중소기업의 여건을 고려하여 중요하거나 관리가 필요한 항목을 도출하는 것입니다. 3단계는 금융기관, 원청기업, 제3자 평가기관 등에서 중소기업 평가를 위해 사용하는 기준과 비료를 통해 현실성, 효과성을 점검하고 보완하는 것입니다.
중소기업 여건 고려 시, EU 중소기업 사회적 책임 가이드라인과 중소기업 ESG 경영 컨설팅 지원사업을 통해 선정된 참여기업의 현황 및 피드백을 참고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은 자사 비지니스 특성과 당면 규제 등 경영 상황에 따라 우선 순위를 통해 관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3. 관리항목 구성 체계
1) 핵심항목
ISO, GRI, EU Normapme 등 국제표준과 RBA, EcoVadis 등 공급망 표준에서 대부분 요구하는 항목으로서 업종과 기업규모와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항목입니다. E 부문에서 대기, 수질, 폐기물, 화학물질 4개 항목은 적용대상일 경우 도입합니다. 미대응시 리스크가 큰 것을 핵심항목으로 고려합니다 (법적제재, 사고예방, 에너지/온실가스 거래 등)
2) 부가항목
ISO, GRI, EU Nlormapme 등 국제표준과 RBA, EcoVadis 등 공급망 표준 중 일부에서 요구하는 항목으로서 기업규모, 사업여건, 추진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하기를 권장합니다.
3) 조건항목
고객유형 (B2C, B2B), 상장여부 등에 따라 적용하는 관리항목입니다.
4. 관리항목 요약
3가지 측면에 대해 환경 19개, 사회 10개, 지배구조 9개로 총 3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여건을 고려하여 사회 및 지배구조 부문을 최소화합니다.
환경부문은 상대적으로 5개 중분류, 19개 항목으로 세분화되었으며 사업장 상황에 따라 오염물질 매체가 다를 수 있습니다. 사회는 4개의 중분류, 10개 항목, 지배구조는 3개의 중분류, 9개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관리항목은 업종, 규모에 상관없이 요구되는 핵심항목 24개와 유동적 관리를 원하는 부가항목 14개로 구성됩니다.
출처 : 중소/중견기업 ESG 경영 이행가이드, 중소벤처기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