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2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초안의 대상 기업 범위안 24년도 4월 말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KSSB)는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초안을 공개하였습니다.최근 ESG 관심이 증대하는 가운데 국제사회의 기속가능성 공시 기준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위원회 (KSSB)도 공시제도 정비 작업을 진행해왔으며 관계자와의 논의 등을 거쳐 최근 공시기준초안을 마련하였습니다. 4개월간 (8월까지) 의견조회 후, 관계부처와의 협업 등을 거쳐 최종안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다만, 도입시기, 대상기업 등의 내요은 제외되었으며 오늘은 가능성이 있는 대상기업 범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선, 국내 상장사의 기업수, 설비자산 및 매출액 비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 자산 2조원 이상 기업수 비중은 8.8%이고, 코스닥 자산 5천억원 미만 기업수 비중은.. 2024. 6. 4.
국내 금융기관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초안 공개 한국은행은 24년 5월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초안을 공개하였습니다. 먼저는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KSSB)에 초안을 공개하고 의견조회에 들어갔습니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ISSB) 공시기준을 바탕으로 정합성, 수용성, 정보유용성을 국내 실정에 맞게 재구성했습니다.다만, 주요 쟁점사항인 도입시기, 대상기업 등은 제외하였습니다. 금융당국은 당초 25년부터 공시기준을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기업의 공시부담, 공시 역량 부족 등을 고려하여 도입시기를 26년 이후로 연기한 바가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의무공시 2개와 추가공시 1개로 구성됩니다. 의무공시는 재무정보 일반사항과 기후관련 공시사항이며, 추가공시는 정부의 정책 방향을 고려한 것으로 선택사항입니다. 오늘은 선택사항인 추가공시에 대해.. 2024. 5. 31.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3가지 조직경계 설정방법 온실가스 발생량을 산정하기 위해 첫번째로 조직경계를 설정합니다. 이 설정방법에 따라 산출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검증을 위해 산정방법에 대해 기술합니다. 아래 그림에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으나, 실제 재무통제법은 운영통제법으로 분류하여 출자비율과 구분해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운영통제 및 재무통제는 가급적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전부를 보고하도록 하는 반면, 출자비율법은 출자비율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하도록 합니다. 재무통제법은 종속기업의 50% 초과 출자비율을 갖는 기업은 실질적인 운영 및 배출기업으로 구분하며, 출자비율이 20~50% 또는 20%이하인 경우, scope 1,2를 출자비율만큼 scope3, 카테코리 15에 반영토록 합니다. 운영통제권은 시설운영자가 보통 종속기.. 2024. 5. 23.
K-ESG 주요 기업의 안전관리 및 고객만족 실천 사례 ESG 이슈가 강조되며, 기업경영 시 고려해야 할 범위가 주주로부터 임직원, 협력사, 지역주민, 고객 등 모든 이해관계자로 확장됨에 따라, 사회(S) 이슈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회부문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큰 틀에서 담당자 지정, 전담 기구 조직, 예산 배정 및 집행, 관련 기기(설비)나 시스템을 구성하여 운영합니다.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기업들은 특히 안전보건 관리체계 수립과 안전보건 문화 내재화에 많은 역량을 쏟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 대상 고객만족도 향상, 임직원 대상 인재육성, 협력사 대상 공급망 ESG관리 등 각 이해관계자별 맞춤 대응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 중입니다. 그 중에서 안전보건 및 고객관리에 대한 주요 기업의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안전관리 체계를 고도화시키기.. 2024.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