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 환경 온실가스2

ESG 환경, 온실가스 산정 및 보고 범위 관리업체는 온실가스 직접배출과 간접배출로 구분하여 배출량을 산정 및 보고합니다. 물리적으로 법인, 사업장 및 배출시설 단위로 구분하되 마지막으로 배출활동별로 온실가스를 각각 산정합니다. 배출활동의 종류는 별표 12에 있는데, 크게 업종 공통 배출활동과 업종별 배출활동으로 구분합니다. 공통 활동은 직접과 간접으로 나뉘며, 직접은 고정연소, 이동연소, 탈루성, 폐기물처리 4개로 세분화됩니다. 특히, 업종별 배출활동은 해당 제품 제조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제품 생산 관점에서 주 생산설비와 보조설비를 보는 것과 온실가스 배출 기여에 대한 관점이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업종별 배출활동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반영한 배출량 산정이 배출경계를 구분보다 중요합니다. 여기서 직접배출 (Scope 1)과 간접배출 (S.. 2023. 8. 22.
ESG 환경부문 온실가스배출량 관련 산정절차 및 조직경계 설정방법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8조관련 별표2에는 산정절차가 나와 있습니다. 총 7단계로 구분하며 조직경계 설정, 배출활동 확인/구분,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 설정,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배출활동별 산정방법론 선택, 배출량 산정, 마지막으로 명세서 작성이 있습니다. 물론 환경부 발간 명세서 작성 해설서에 의하면 8단계 배출량 등 3자 검증과 검증보고서 및 수정된 명세서를 최종 제출하는 단계가 추가됩니다. 1단계 조직경계의 설정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건축법」, 「수도법」, 「하수도법」, 「폐기물관리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정부에 허가받거나 신고한 문서(사업자 등록증, 사업보고서, 허가신청서 등)을 이용하여 사업장의 부지경계를 식별합니다.... 2023.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