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 평가2

한국ESG기준원의 ESG 평가 방법 ESG 평가 분야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나뉩니다. E (환경) 리더십과 거버넌스, 위험관리, 운영 및 성과, 이해관계자 소통분야로 세분합니다. S (사회) 리더십과 거버넌스, 노동관행, 직장 내 안전보건, 인권, 공정 운영 관행, 지속가능한 소비,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지역 사회 참여 및 개발, 이해관계자 소통으로 구분합니다. 여기서 이해관계자는 소비자, 이웃시민, 협력사 근로자 등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지배구조의 이해관계자와 차이가 있습니다. G (지배구조) 이사회 리더십, 주주권 보호, 감사, 이해관계자 소통 (금융회사 지배구조) 이사회, 주주권 보호, 최고경영자, 보수, 위험 관리, 감사기구 및 내부통제, 이해관계자 소통 )으로 구분합니다. 평가대상은 유가증권시장 상장회사, 코스닥 상장사.. 2024. 3. 27.
ESG 평가 이슈, 해외상황 및 사례 EU 유럽증권시장감독청 (ESMA)는 ESG 평가 방법론에 대한 법적 정의 부재에서부터 문제 의식이 시작됩니다. 평가비교 가능성, 일관성, 투명성을 역시나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며, 투자시 자원 배분 왜곡 상품 불완전 판매, 그린워싱 문제 야기에 대해 우려하고 있습니다. 다만, ESG 평가 시장 또한 과도기 상황에 있으므로 바로 규제 도입을 하는 것은 경계합니다. 22년 6월 EU 역내 ESG 평가 시장 현황조사 및 보고를 완료하였습니다. 이를 토대로 평가 문제점을 공유하고 규제 체계 마련 필요성을 검토합니다. 23년 6월 ESG 평가기관 규제 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ESG 평가기관은 유럽감독청의 승인 및 관리감독을 받아야 하고, 평가기관의 이해상충방지를 위한 지침을 곧 마련할 예정입니다. .. 2023.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