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폐기물 소각2

폐기물 매립, 소각 시 온실가스 배출 기초자료 조사내용 폐기물은 폐수처리와 기타 부문으로 구분되며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배출원별로 산정합니다. 아래 그림에 보면 폐기물은 크게 매립, 고형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폐기물 소각, 하폐수처리로 구분합니다. 기초자료 출처는 지자체 보유자료, 관계부처, 통계청, 마지막으로 산정기관 자료 순으로 우선순위를 둡니다. 산정방법은 IPCC 2006를 적용하며 해당 온실가스는 CO2, CH4, N2O입니다. 기초통계자료는 환경부의 전국폐기물발생 및 처리현황 (전국시도현황), 지정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하수도 통계가 사용됩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산업폐수 발생 및 처리현황, 통계청의 단백질섭취량, 추계인구, 환경공단의 메탄회수량, 퇴비화 처리량이 사용됩니다. 1. 폐기물 매립 매립지로부터 발생하는 C.. 2023. 12. 1.
ESG 경영 관련 국내외 폐기물 업체 동향 최근, ESG 열풍으로 인해 국내 대기업이 폐기물재활용시장에 많이 뛰어들었습니다. 전쟁 및 기후변화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기업이 원가절감을 위해 특히 폐기물을 다시 원료로 사용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부추깁니다. 폐기물 사업 중, 폐플라스틱 수거, 파쇄 등은 중소기업의 기존 수행 사업으로서 대기업과 마찰이 발생하였습니다. 사업 영역을 두고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이 필요합니다. ESG 경영관련 대기업은 지식과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는 반면, 영세한 중소기업의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폐기물 재활용이 ESG 환경/폐기물 부문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동반성장을 위한 접점을 찾으면 환경성과 수익성, 그리고 동반성장의 사회적가치도 높일 수 있습니다. 우선, 국내 기업의 주요 폐기물 재.. 2023.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