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사회3

ESG 리스크 관리 지배구조 부문 및 글로벌 자산운용사 행동 변화 ESG 지배구조 부분에 주주권리 보호 및 이사회 선임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국내 기관투자자의 주주대화 주제가 19년도 대비 21년도 약 2년간 설문조사를 통해 변화된 내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ESG 관련 내용이 54%에서 74%로 많이 증가하였고, 상대적으로 주주환원 및 재무구조 개선 영역이 감소하였습니다. 글로벌 자산 운용사인 블랙록은 20-21년 주주총회에서 기후관련 리스크를 관리하지 못해 주주의 장기적 가치를 훼손시킬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255명의 이사 재선임에 반대 의결권을 행사하였습니다. 또한 37개사의 사회 이슈 관련 경영사안 (이사선임 포함)에 대해 반대 의결권을 행사하였습니다. 예시로서 세계 최대 장갑생산업체인 TOP GLOVE 말레이시아 사업장에서 코로나 발생으로 수 .. 2023. 12. 21.
EU 공급망 실사지침 현황 (최신) EU 공급망 실사지침은 공급망에서 발생한 인권침해와 관련하여 구매자에게 법적 책임을 부과하는 최근 흐름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입법화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의 자발적 인권 및 환경보호 실효성이 낮아서 규범화하고 회원국별 상이한 실사제도 이행에 따른 혼란을 줄이기 위해 표준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목적은 첫째 EU 가치실현에 기업참여를 촉구하는 것입니다. 둘째 인권, 환경보호는 기업이에도 부합하는데 이에 대한 소비자 및 투자자 관심 증대 때문입니다. 셋째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경제, 환경, 사회 발전 촉진에 기여함으로써 전세계 양질의 일자리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핵심내용중 첫 번째 대상은 역내 및 역회 기업으로 구분하는데 세부적으로 고용인원, 매출, 산업군 기준을 적용합니다. 그리고 기업.. 2023. 10. 30.
중소 ESG 지배구조/경영체계/CEO, 전담부서, 이사회 관리항목 지배구조는 기업 수익 및 가치 극대화를 위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틀입니다. 보편적으로 최고경영자, 이사회 및 주주총회로 구성됩니다. 국내 주요 대기업은 경영권 승계 작업이 본격화되는 등 새 리더의 등장으로 지배구조의 쿤 변화가 예상됩니다. 반면,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서 실시한 ESG 실태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지배구조 점수는 300점 중 89점으로 낮은 편입니다. 유가증권시장 평가대상기업인 중소기업 117개 개 사 중 임직원 윤리규정을 갖춘 기업은 10%인 11개 사에 불과합니다. 이런 여건 속에서 ESG 경영의 중요성은 중소기업으로 하여금 더욱 큰 고민을 주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다음의 관리지표 및 이행방안을 살펴보면 실천할 수 있는 부분이 분명 있습니다. 1. 최고경영자 의지 최고 경영자의 ESG .. 2023.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