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금속2

순환경제를 위한 자원 재활용, 탄소국경제도에 따른 탄소저감기술 확대 순환경제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 사용을 목표로 합니다. 원부원료 내 독성 화학물질 사용도 줄입니다. 제품 전 원료 성분, 그리로, 사용 및 사용 후 단계까지 고려하는 설계를 통해 폐기물을 원천적으로 줄이거나 수거하여 재활용하도록 합니다. 글로벌 재활용 시장은 연평균 5.7% 성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2019~2017년도). 폐가전과 폐플라스틱이 전반적으로 큰 시장이며 폐배터리는 빠른 성장속도를 얘상합니다. 아래에는 대표 전자제품의 구성성분을 나타내었습니다. 금속, 플라스틱이 거의 대부분입니다. 폐제품 내 금속을 추출하거나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이 중요합니다. 금속의 재활용 (2차 지금 생산)은 자가 스크랩, 가공 스크랩 및 노폐 스크랩으로 분류합니다. 자가 스크랩은 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순도 스크랩이며.. 2023. 8. 24.
탄소중립과 산업금속 수요, 공급 관계 최근 기후변화로 ESG경영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탄소중립정책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광산활동에 의한 1차 지금은 금속재활용율 (2차 지금)이 증가하면서 감소하게 됩니다. 전기자동차 산업,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원자력, 수소 등) 산업은 알루미늄, 구리, 망간, 납, 코발트 등 많은 금속의 수요를 야기합니다. 그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전체 금속 수요시장은 증가하게 됩니다. 한편, 1차 지금은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 영역입니다. 탄소중립 정책은 산업금속의 재활용을 높이는 쪽으로 몰아 가고 있습니다. 금이 금만이 아니라, 모든 금속이 금이 되는 시기입니다. 구리, 코발트, 리튬의 수요 및 공급망에 대한 .. 2023.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