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ssb2

국내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KSSB) 초안 및 국제기준 (ISSB) 비교 두 기준 모두 의무공시기준 1,2 호와 추가공시로 구분합니다. 오늘은 의무공시기준 1,2 호 세부 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 의무공시기준 1호는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를 위한 일반사항으로서 지속가능성 사안과 관련된 개념적 기반과 일반사항을 제시합니다. 2호는 기후관련 공시사항으로서 기후관련 위험 및 기회 관련 공시 요구 사항을 제시해야 합니다.기후공시 관련 지표 내지 목표를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산업전반 지표, 산업기반 지표, 기후관련 목표 및 기타 성과지표로 나뉩니다. 산업전반 지표는 온실가스 배출량, 전환 위험, 물리적 위험, 기후관련 기회, 자본 배정, 내부탄소가격 및 보수 이렇게 7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산업기반 지표는 기업이 속한 산업의 특징이 반영된 지표인데 아직까.. 2024. 6. 5.
국내 금융기관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초안 공개 한국은행은 24년 5월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초안을 공개하였습니다. 먼저는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KSSB)에 초안을 공개하고 의견조회에 들어갔습니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ISSB) 공시기준을 바탕으로 정합성, 수용성, 정보유용성을 국내 실정에 맞게 재구성했습니다.다만, 주요 쟁점사항인 도입시기, 대상기업 등은 제외하였습니다. 금융당국은 당초 25년부터 공시기준을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기업의 공시부담, 공시 역량 부족 등을 고려하여 도입시기를 26년 이후로 연기한 바가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의무공시 2개와 추가공시 1개로 구성됩니다. 의무공시는 재무정보 일반사항과 기후관련 공시사항이며, 추가공시는 정부의 정책 방향을 고려한 것으로 선택사항입니다. 오늘은 선택사항인 추가공시에 대해.. 2024.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