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항공유2 국내 지속가능항공유 관련 법 및 국외 현황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이하 석유사업법)」 개정안이 1.9.(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습니다. 석유사업법 개정안은 글로벌 환경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 수단으로서 친환경 석유대체연료의 생산 및 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발의되었습니다. 석유사업법 개정안에는 석유정제공정에 “친환경 정제원료”의 투입 허용, 친환경 연료를 바이오연료, 재생합성연료 등으로 명시적으로 규정, 친환경 연료의 개발·이용·보급 확대 및 원료 확보 등에 대한 정부의 지원 등이 주요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폐윤활유, 바이오매스 등 하위법령 (규칙)에서 규정합니다. 금번 법 개정을 통해 정부는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글로벌 친환경 연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강력한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안정.. 2024. 3. 6. 지속가능항공유, SAF 탄소중립의 한 정책중 하나는 지속가능항공유 (SAF : sustainable aviation fuel)의 상용화를 유도하는 것입니다. 국제화로 인한 세계 여행과 항공 우편 등 비행기가 내뿜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정책입니다. 여기서, 지속가능항공유는 폐유나 생활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 등 대체 원료로 생산된 항공유를 의미하며, 기존 항공유와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바이오매스 원료에 기인하는 '바이오 SAF'와 합성 방식으로 제조된 '합성 SAF'로 구분합니다. 통상 상용화된 기술인 바이오항공유를 지칭합니다. 미국의 다국적 로펌회사인 베이커 맥킨지는 글로벌 항공산업에 대해서 22~50년까지 SAF 관련 약 6,800조원 규모 투자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 항공업 전환전략 보고서, '22.7) 국제항공.. 2024. 3.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