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변경신고2

대기환경법 단속사례1 기업의 친환경경영이 강조되는 가운데, 환경법 준수는 리스크가 큰 ESG 평가항목입니다. 한편, 대기환경보전법 등 관련 법의 개정, 허가기준의 강화, 신규 오염물질 추가 등으로 기업은 관리에 대한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고 대비하여야 합니다. 아래 사례를 통해 해당 기업이 겪는 법률 위반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대비하는 것이 친환경경영을 제고하고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23년도 원주청 발간자료에 의하면 대기환경보전법 주요 위반사례는 무허가 대기배출시설 설치 및 운영, 대기배출시설 변경신고 미이행, 미신고, 공기 희석, 비정상 가동, 방지시설 미가동, 대기배출(방지시설) 운영기준 위반, 운영기록부 미작성, 자가측정 미이행, 환경기술인 미임명, 기술인 교육 미이수, 배출허용기준 초과, 비산먼지 발생사업 신.. 2024. 4. 22.
통합환경허가 (친환경 관리) 중 사후관리 업무 종류 및 요약표 통합환경허가는 사업장 사용물질에 대해 물질수지 작성을 통해 오염물질을 원천적으로 줄이거나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7장 최적가용기준서상 관리기법도 사업장의 운영비를 절감하거나 친환경 경영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 많습니다. 통합사업장 시설운영, 유지관리, 허가조건 이행 등 업무지침 통합환경허가 대상 업체는 허가를 취득한 후, 다음 5년이 재갱신 기간을 두고 매일, 매월, 연간 단위로 해야 할 사후관리업무가 있습니다. 해당 환경관리자 등 관계자의 업무를 행정규칙인 '통합사업장 시설운영, 유지관리, 허가조건 이행 등 업무지침'을 통해 명시하고 있습니다. 업무처리지침은 1-20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표는 1~6, 별지는 1~11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조에서 7조는 신설 사업장 내지 신규배출시설에 대해 해.. 2023.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