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질수지2

통합환경허가 추진 시 고려사항 및 허가증 (허가배출기준) 예시 통합환경허가 업체들이 흔히 겪는 어려움은 2가지 1) 사업장 제공자료 확보 어려움 사업장은 통합환경관리계획서를 자체 또는 대행사를 통해 작성할 때, 많은 숫자를 기입하게 되는데 관련 데이터 확보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통합환경허가 신청 과정중 사전단계로서 현황분석이 있는데, 환경팀, 생산팀, 구매팀, 공무팀 등 사업장 내 여러 부서들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기존인허가 서류와 5년간 대기, 수질, 폐기물 등 오염물질 배출자료는 환경팀에서 제공합니다. 한편, 장치설비목록, 굴뚝 높이, 내경 등 제원 정보, 원부원료 등 단위 설비당 투입 흐름도, 공정설명자료, 생산량 실적 등은 생산팀 (또는 기술팀)에서 제공합니다. 5년간 원, 부원료 구매량은 구매팀 또는 공무팀에서 제공합니다. 제품에 따라 사용.. 2023. 9. 4.
통합환경관리제도 이해 및 허가 추진 시 고려사항2 (모델링, 물질수지) 통합환경관리제도가 기존 대기, 수질 등 매체별 환경인허가와 다른 부분은 모델링과 물질수지 작성입니다. 통합환경관리계획서는 1~8장으로 구성되는데, 모델링은 2,3장에, 물질수지는 4,5장과 연관이 있습니다. 1. 대기/수질 모델링 (배출영향분석) 모델링 대상 환경매체는 대기와 수질입니다. 즉, 악취, 소음진동 등 허가배출기준은 각 개별법의 배출허용기준을 준용합니다. 기존 매체별 환경법에서는 배출허용기준이란 명칭을 통합허가에서는 허가배출기준으로 표현합니다. 기존 오염도는 사업장 중심으로 반경 25km 이 내 국가측정망등을 통한 해당 오염물질 농도입니다. 추가오염도는 사업장의 모든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물질 농도이며, 이 두 가지 농도를 합한 값을 총오염도라고 합니다. 환경에서는 환경정책기본법 및 환경.. 2023.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