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속, 화학, 음료, 제지 TCFD 이행 관련 지표

by mintmong 2023. 9. 12.

1. 금속, 화학, 건설 업종 

 

금속 및 광업, 화학제품, 건설자재 등의 업종은 높은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재무적 노출을 초래합니다. 특히, 물 이용 의존율이 높고, 기상현상에 의한 영향도 받기 쉽습니다. 

자본집약적이고, 공장과 설비의 수명이 길기때문에 연구개발의 가속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연구개발관련 계획과 진행상황은 본 업종의 미래상황과 위험을 확인하는데 중요합니다.

 

 

정보공시 관련 정량적, 정성적 평가 항목

1) 배출 제한, 탄소배출가격 산정, 비용에 대한 관련 영향

2) 급작스러운 기상 이변 빈도 증가, 물부족 심각성 증대로 인한 위험 평가  (건설자재, 부동산)

3) 효율성 제고, 에너지 절감, 순환제품 활용 기회

 

산업별 추가 지표 가이드 (자재 및 건물)

1) 면적별 건물 에너지 집약도

2) 점유자별, 단위면적당 물 집약도

3) 담수 취수비율 (물부족, 취약 지역)

4) 홍수 위험 지역 건물, 공장, 부동산 면적

 

 

2. 농산물, 식품 업종

 

본 업종의 기후변화 위험 및 기회는 토지이용, 이용 패턴 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수자원 및 폐기물 관리로부터 발생합니다. 관련 위험은 식품 및 섬유 생산업체 및 가공업체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농업 및 임업 생산업체는 가공업체보다 기상이변, 강수 패턴 변화 등으로 인한 재무영향을 더 크게 받습니다. 본 업종은 비점오염원, 온실가스를 다량 배출시키며, 이는 토지이용 방식 및 변화 (방목, 경작, 보존, 사육장, 삼림 파괴 또는 조성)로 인해 발생합니다. 

식품, 음료, 섬유 (제지) 가공업체는 직접적 온실가스 배출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공급망 및 유통망에서 발생하는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 영향은 높습니다. 가공업체 역시 물, 폐기물 관련 위험과 기회에 큰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음료나 종이생산과정에서 상당한 양의 물이 사용됩니다. 폐기물 관련하여 종이 및 목재 폐기물, 폐수, 부산물 등이 있습니다. 

 

본 업종은 토이지용, 물, 폐기물, 탄소 격리, 생물다양성 및 보존이라는 상호작용과 식량 안보관련 정책 목표 등 복잡한 상황을 연출합니다. 예로서 식품, 섬유, 바이오연료 등 수요 증가가 있습니다. 

토지 이용 및 보존 요구사항 및 정책은 토지와 수자원의 특정 용도를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습니다. 삼림이나 농경지가 식량 또는 섬유생산에 사용될 수 없는 경우 자산의 피해를 가져옵니다.

 

기후변화 공시 관련 평가 사항

1) 단위 제품 생산량당 탄소 및 물 집약도 저감 기회 (GMO, 메탄 발생을 줄이는 사료 및 사육 방법)

2) 잔류 폐기물 저감 (바이오연료, 식품 폐기물 감축)

3) 탄소 및 물 집약도를 낮추는 신제품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산업별 추가 지표 가이드

1) 가축관리, 경작 관행 점검, 비점오염원 기인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물 절약 노력

2) 산출물 및 폐기물 재활용 (목재, 식품폐기물)

3) 기후변화 관련 영향 (기상이변, 극한 강수량)

4) 물, 폐기물 집약도를 줄이는 식품, 섬유 제품 또는 공정 (바이오플라스틱, 유전자 변형 생물, 목재/동물 부산물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