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열병합 발전시설의 열 간접 배출계수 개발

by mintmong 2023. 9. 3.

열병합 발전시설에서 외부 열공급 시 배출계수의 개발 활용

 

관리업체는 열병합 발전설비를 활용하여 생산하는 열을 관리업체 조직 경계 외부로 공급할 때는 열 공급에 따른 간접배출계수를 개발하여 열을 사용하는 관리업체에게 제공해야 합니다.

 

가. 산정식

 

먼저,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을 위해 필요한 변수는 열병합발전 설비의 총 온실가스 배출량 (Et), 열생산량 (H), 전기생산량 (P), 열생산효율과 전력생산 효율 비율 (Reff), 열생산효율 (eH), 전기생산효율 (eP)입니다. 여기서, 열생산효율 자료가 없는 경우 기본값 0.8을, 전기생산효율 자료가 없는 경우는 기본값 0.35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Et는 해당 배출시설에서 직접 배출되는 온실가스량으로 scope1범주에 들어갑니다.

 

열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계수 산출을 위해 상기에서 계산한 온실가스 배출량 (GHGemission)과 열생산량 (H)가 필요합니다.

 

 

 

열 간접 배출계수를 개발하기 위한 기본적인 틀은 '직접배출량에 열생산에 따른 배출량을 먼저 산정하고, 외부 열공급량을 나누어 산정'합니다. 열병합발전시설의 특성상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기 때문에 열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먼저 산정합니다.

 

열병합발전소 내 배출시설 중에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폐기물처리시설, 이동연소시설 등은 간접 배출계수 개발 시 제외합니다. 대기오염물질 처리시설 (배연탈황 등)의 온실가스 배출도 제외합니다.

 

소각여열 및 공정폐열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열병합 발전시설에서 열을 추가 생산하여 한 꺼번에 외부로 공급할 때에도 지침 49조 (바이오매스 등) 1항에 따라 간접 열 배출 계수 개발시 제외합니다.

 

 

나. 간접배출계수 산정 예시

 

아래 예시에서 A관리업체는 조직경계 외부의 폐기물소각시설에서 소각여열과 발전소에서 공정폐열을 공급받아 A업체 소유의 열병합 발전시설에서 생산한 열과 함께 조직경계 외부의 열 사용업체에 열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간접배출계수 산정에 사용되는 요소는 열병합보일러로 공급되는 연간 화석연료 사용량 (3), 화석연료 발열량, 화석연료 온실가스 배출계수 및 산화계수, 외부로 공급하는 열 (6), 열병합보일러의 전기생산량 (H), 열 생산량 (P), 전기생산효율 (eP), 열생산효율 (eH)입니다.

 

 

1) 열병합 보일러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1)은 연료사용량과 발열량, 배출계수 및 산화계수를 곱해 산정합니다.

    500 x 39.1 x 77.10-3 x 1 = 1,513.170 tCO2eq

 

2) 열병합발전시설 열 생산량 = 2,000 GJ

 

3) 열병합발전시설 전기 생산량 = 500 (MWh) x (3.6 (GJ/MWh) / 0.4 (열생산효율) =9)

 

4) 열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5) 간접배출계수

다. 간접배출계수 검증 관련

 

열 간접 배출계수의 검증은 연간 50만톤 이상 배출시설에서 열을 생산하여 관리업체 외부로 공급할 때 지침 47조 규정에 의거하여 해당 배출계수에 대한 정부의 검토, 확인을 거칩니다.

연간 50만톤 미만의 배출시설에서 열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경우는 정부가 아닌 검증기관을 통해 적절성을 검토발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