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통합환경허가 대기모델링 과정 및 해석

by mintmong 2023. 9. 2.

통합환경허가를 받기 위해 통합환경관리계획서를 작성합니다. 대기 및 수질에 대해서는 모델링을 통해 당 사업장이 인근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해 허가배출기준을 산정합니다. 

 

모델링을 배출영향분석이라고 2장에서 표현합니다. 산업기술이 발달하고, 다양한 제품 제조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대기와 수질환경에 영향을 미칩니다. 

 

대기는 특성상 가스형태로 배출이 되며 곧바로 확산되는 반면, 폐수는 물리적인 흐름으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향하는 특성이 있기에 차집해서 관리하기가 더 용이합니다. 

 

대기오염물질은 제조사업장의 배출구 (굴뚝)를 통해 배출되고, 바람, 강우 등의 영향을 받아 넓게 확산됩니다. 모델링 결과에서 중요한 기준점은 환경기준입니다. 대기의 경우, 환경정책기본법과  통합법 내 환경기준 항목은 대략 20여가지가 존재합니다. 즉, 이 항목들에 대해서 사업장 배출농도와 주변 기 측정 농도 (기존오염도) 합 (총오염도)을 환경기준과 비교합니다.

 

총오염도가 환경기준보다 높으면 건강 및 환경 영향이 크다고 판단하며, 모델링을 재수행하게 됩니다.

법적 기준을 정하는 게 목적이기 때문에 최초 사업장 배출농도는 최대배출기준을 사용합니다. 이는 기존 대기법에서 배출허용기준이라고 표현하는데 일부 업종 및 오염물질에 대해서 통합법 시행규칙에서 별도로 (우선하여) 최대배출기준이라는 이름로 정해놓았습니다. 

 

두 번째 단계는 배출량 산정인데 배가스량 또는 방지시설 용량을 해당 농도과 곱하여 배출량을 산정합니다. 대기의 경우, 에어모드라는 대기모델링을 통해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내 강우, 지형, 풍속 등 영향인자가 반영된 추가오염도 (PC, 사업장 배출농도)와 총오염도 (PEC, PC+BC_기존오염도)를 산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