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차 전지 업체들을 대상으로 정부가 주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과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Scope3는 공급사의 제조활동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량에대한 정보를 다룹니다. 2차 전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공급사의 온실가스 배출활동을 포함시킴으로써 제품의 친환경성을 높이고자 유럽 연합을 중심으로 규제를 만들고 있습니다.
최근 ESG 경영의 이름으로 공급사의 인권 또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환경, 사회 및 지배구조의 투명성과 건강성을 위해 공급사에 대한 관리가 엄격해졌습니다.
그래서 공급사와 계약을 맺을때에도 ESG 경영에 대한 권고 및 이행사항을 담습니다. 이미 제조과정에서 배출계수 등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보고 기업의 SCOPE3 배출량 산정도 수월해집니다.
오늘은 SCOPE3, 13개 카테고리중 첫번째인 '구매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보고기업이 어떻게 배출량 계산을 하면 되는지 알아봅니다.
보고기업은 해당 연도에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자재, 중간재, 최종재 등을 구매합니다. 이는 보통 유틸리티 공정으로 구분하는 저장 시설에서 보관되거나 제조공정에 바로 투입됩니다.
2차전지를 예시로 들면 주, 부원료로서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양극활물질, 음극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등이 있습니다.
공급사는 상기의 개별 제품을 만들기 위해 전기나 LNG 기반 보일러 통한 스팀을 사용하고,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하고 본사 (보고기업)에 납품하기 위한 수송 등 제조활동을 영위합니다.
공급사는 이러한 제반 배출량을 계산하여 보고기업에 제출해야 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협력사는 많지 않습니다. 이렇게 배출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공급사 기반'이라고 합니다.
2차 전지 제조회사 A를 예시로 들면 양극재 (공급체 B), 음극재 (공급체 C), 분리막 (공급체D)가 제시하는 해당 제품 구매량에 따른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배출량을 계산합니다.
A사의 원료 (원자재) 공급사 제공 배출계수
배출량 = (200,000 x 1.25) + (600,000 x 0.75) + (200,000 x 1.40)
= 980,000kgCO2e
공급사가 제품별 배출계수를 제공하지 못하면 제조활동을 세분화하여 정보를 마련하고 Life cycle inventory DB 등을 통해 각 원재료에 대한 대표 배출계수를 수집해야 합니다.
공급사의 유틸리티 사용량 (전기 또는 LNG 사용량으로서 SCOPE 1,2로 구분함)과 발생폐기물에 대한 양을 수집합니다. 천연가스의 경우 무게단위로 단위 변환하고 에너지법 시행규칙의 에너지열량 환산기준을 적용하여 순발열량을,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로부터 배출계수를 수집합니다.
이렇게 제조활동에서 발생한 물질의 양과 국가 및 동종산업계에서 마련된 배출계수를 활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데 이를 '혼합법 기반' 이라고 합니다.
공급사 제조활동과정 사용 원/부원료 사용량 및 조사를 통한 배출계수 정보 예시
첫번째, 전기 및 LNG 사용에 따른 스팀마련 등에 대한 배출량 계산입니다.
= (전기 사용량 x 전기 배출계수) + (천연가스 사용량 x 천연가스 발열량 x 탄소배출계수 x 44/12) # 여기서 44/12는 이산화탄소/탄소 분자량으로서 환산 계수입니다.
= (5,000 x 0.5) +(2,300 x 49.4 x 15.281/10^6 x 44/12 x 10^3)
# 여기서 10^6, 10^3은 MJ/TJ, kg/ton에 대한 환산 계수입니다.
= 2,500 + 6,920
= 9,420 kg CO2e
두번째, 공급사 B가 사용한 원재료 사용량에 대한 배출량입니다.
= (5,000 x 7) +(2,500 x 5) + (500 x 2)
= 48,500 kgCO2e
세번째, 원재료 운송 활동에 대한 배출량입니다. 운송거리, 중량, 이동수단별 배출계수를 곱합니다.
= (5,000 x 1,000 x 0.01) + (2,500 x 2,500 x 0.02) + (500 x 800 x 0.05)
= 195,000 kgCO2e
네번째, 폐기물 처리에 대한 배출량입니다.
= 100 x 0.5
= 50 kgCO2e
합계
= 252,970 kgCO2e
예시이지만, 본 공급사 B는 원재료 운송에 대한 배출량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보고기업 A입장에서 보면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공급사로 하여금 가까운 원재료 확보방안을 강구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또다른 '혼합법 기반'과 ' 평균값 기반', '비용기반'의 배출량 산정법에 대해 얘기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