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의 리스크 관리는 전사적리스크 관리 체계내에서 관리 통합이 필요합니다. 먼저, 방침을 전달하고 효율적 실행을 유도하기 위해 내부정책과 행동강령을 수립합니다. 이러한 정책을 협럭업체들에게도 확장합니다. 이사회가 일반적 경영판단을 할 때 ESG 리스크가 적절히 반영되고 있는지 평가합니다. 경영진의 전사적리스크 관리체계 운용, 리스크에 대한 중요성 평가 등을 이사회가 검토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적으로 마련합니다.
다음은 전략수립단계로서 기업의 주요 ESG 이슈들이 기업의 장기전략목표에 반영되도록 합니다. 이사회가 이를 감시하고 ESG 요소가 기업의 전략목표에 반영되는 것이 기업의 비전 및 전략 계획과 일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이사회와 경영진은 ESG 전략이 추진 요인, 경험 및 지식의 변화를 포섭해나가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논의합니다.
다음은 ESG 성과지표 마련 및 운영입니다. 이사회는 적절한 측정기준 및 목표치를 사용해 ESG 리스크 관리에 대한 성과를 감시합니다. 바람직한 기업문화의 정착과 같은 질적 영향이 보상위원회의 결정 메커니즘에 반영되도록 합니다. ESG 중요성이 보상과정에서 부각될 수 있도록 보상위원회와 ESG 위원회 사이에 충분한 교류와 의사소통이 되도록 노력합니다.
아래는 이사회의 ESG 리스크 관리를 위한 체계 내용입니다.
기업의 핵심 ESG 리스크 파악, 이사회 정기적 보고 및 업데이트, 이사회 구성원 대상 정기 교육 실시, ESG 이슈 확인 시 적시 개입, 이사회 활동에 대한 기록, 이사회 공개 및 관련 익명보고 시스템 구축입니다.
다음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KCGS 이 21년도 ESG 평가 대상 기업중 지배구조 및 ESG 우수기업 수상 사례입니다.
A은행은 이사회의 ESG 전문성, 위험관리위원회 차원의 ESG 리스크 관리 등 이사회 중심의 ESG 경영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여성 이사회 이장 선임, 이사회 내 높은 여성이사 비중을 바탕으로 이사회 다양성의 중장기적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이사회 내 토론문화가 정착되어 있고, 사외이사가 전문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이사회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C회사는 이사회 차원에서 ESG 관련 이슈 및 리스크 검토를 통해 비재무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이사회 내 내부거래위원회를 설치하여 계열사 거래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D회사는 활동적인 이사회 문화를 기반으로 독립적인 이사회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 경영체계를 효과적으로 유입합니다. 최고경영자 및 사외이사의 임원 추천 과정과 보수위원회의 독립성 확보를 통해 사외이사의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합니다. 정기적인 보수체계 검토, 경영진의 높은 장기성과급 비중, 보수 기준 공시의 투명성 등 건전한 보상체계를 수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