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환경허가증은 통합환경허가명세서로 불립니다. 단순히 한 두 페이지가 아니라 그 사업장의 공정 및 시설 수에 따라 수십에서 백 페이지가 넘어가기도 합니다. 통합환경허가를 위해 작성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분량에 비례하여 허가명세서양도 증감합니다.
먼저, 허가증 상 대분류 및 중분류 공정 분류예시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본 허가증은 통합환경허가기스템을 통해 공개된 내용입니다. 동해바이오화력발전소 허가명세서 일부입니다.
대분류는 유틸리티, 생산공정 및 오염물질처리공정으로 구분합니다. 유틸리티는 용수생산, 냉각수 공정, 사용물질 저장 공정 및 연료공급공정으로 구분합니다. 업종에 따라 약품을 많이 쓰는 경우에는 사용물질 저장공정의 시설 수가 상당히 많아질 수 도 있습니다. 본 발전소는 등유, 석탄, Bio-SRF (폐목재 활용 고형연료 등)을 연료로 사용합니다.
연소 및 거기서 발생하는 스팀을 활용한 발전공정에서는 스팀의 원료인 물관리가 중요합니다. 깨끗한 물을 생산하는 용수생산공정과 각 공정 단위에서 발생하는 장치들의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공정이 필요합니다.
그림에서 복잡하게 얽혀있는 것처럼 중분류 공정간 해당 매체의 이동선을 화살표로 표현합니다.
생산공정은 석탄연소보일러와 고형연료보일러 및 여기서 발생한 증기를 사용하는 터빈과 발전기가 포함된 증기 및 전기생산공정이 주요 생산공정입니다. 최근 ESG 경영 관련 본 화력발전소도 태양광발전을 통해 석탄 사용의 비중을 조금이라도 줄이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보일러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 회 및 폐기물을 수거, 차집하여 처리하는 오염물질처리공정이 있습니다. 보일러내 순환하는 용수 (스팀)는 시간이 지날수록 관 내 스케일 발생물질이 증대합니다. 따라서, 일부를 외부로 빼서 폐수처리공정으로 보내고, 그만큼의 보충수를 용수생산공정을 통해 보일러에 공급합니다.
석탄 및 고형연료 발생 연소재 (바닥재, 비산재)를 적정한 크기의 보관장에서 옮겨 외부 위탁 처리 등을 실시하는데 보관을 위한 시설이 보통 폐기물처리공정에 포함됩니다.
비점오염처리공정이 있는데 이는 강우 시, 특히 초가 강우가 해당 공정 및 시설을 접촉할 때 여러가지 오염물질을 강우 유출의 형태로 발생시키는데 이를 차집하여 처리하고 방류하는 공정입니다. 보통 사업장의 해당 면적 (불투수면적)과 목표 처리 강우량을 고려하여 용량을 계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