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전 글로벌 리스크는 경제성장과 금융안정 등 대부분 재무 리스크이었으나, 최근은 기후변화, 질병 등 비재무 리스크 중요성이 훨씬 커졌습니다.
1. 시대적 중요성
아래 그림은 2009년도 대비 최근 글로벌 리스크 항목을 순위로 매긴 자료입니다. 발생가능성 관점과 영향력 관점으로 구분하였습니다.
파란색은 경제, 분홍색은 사회, 녹색은 환경에 대한 이슈입니다.위에서 아래로 순위를 나타냅니다. 2009년도의 발생가능성 부문에서 리스크 1순위는 자산버블 붕괴입니다. 이어서 중국경제 성장 둔화입니다. 모두 경제영역 리스크입니다.
반면, 21년도에는 기상이변과 기후변화 대응 부족, 나아가 환경파괴라는 환경부문 리스크에 자리를 넘겨주었습니다. 무서운 경제속도 성장세에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환경 위험에 제대로 대처를 못했습니다.
아래는 영향력 관점에서 본 글로벌 리스크 순위입니다. 2009년도에는 자산버블 붕괴, 세계화 퇴조, 중국경제 성장 둔화 등 경제영역 부문인반면, 21년도에는 질병, 기후변화 대응미흡, 대량살상 무기 등 사회, 환경, 지정학적부문으로 바뀌었습니다.
즉, 금융이라는 재무적관점에서 비재무적관점으로 리스크 영향력이 변경되었습니다. 모두가 알듯이 코로나로 인해 세계 경제 및 사람의 삶이 극단적인 고통을 겪었습니다. 거기다가 미세먼지, 홍수, 가뭄, 예측불가한 자연재해, 우크라이나 전쟁 등 상당한 고통의 기간을 지나왔습니다.
특히, 전쟁이슈는 에너지 위기 및 공급망 차질현상을 초래하였고, 중장기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대책도 이제는 환경오염을 저감하고, 지구 온도를 낮추는 방향과 정책으로 나아가게 되었습니다.
2. 기업가치 영향
ESG는 다양한 경로로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에는 ESG 투자는 잠재적 좌초자산 투자비용을 축소시켜 장기수익률을 개선시킨다는 공감대를 형성시켰습니다.
우선, 낮은 수준의 ESG를 기업이 유지하면, 실망한 고객이탈과 쓰레기 처리비용 상승, 각종 벌금, 처벌 촉발, 사회적 낙인으로 인재 이탈, 좌초자산 손실로 경쟁 낙오 등 여러가지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반면, 높은 수준의 ESG를 기업이 유지하면, 고객 포섭력 확대, 에너지 소비 감축, 정부지원 획득, 신뢰도 제고로 고급인력 수혈, 저수익 투자 회피 가능 등 활동을 통해 수익창출, 비용절감, 규제비용 지원, 생산성 제고, 자산최적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